강의를 듣기 전,
유니티 웨비나가 실망스러워서 이번 웨비나도 걱정된다. (<- 우와 완전 좋았다! 이게 웨비나지 !!)
강의 후기,
강의는 정말 유익했다. AWS 에서 제공해 주는 토큰으로 유료 서비스를 실습해 볼 수 있었으며, 참여자 모두가 자신의 컴퓨터로 강의를 들음과 동시에 실습을 따라하는, 온라인 강의의 장점을 적극 활용한 세미나였던 것 같다.
사실 강의가 유익해서 회사 사수께 말씀드렸는데, AMS 는 비싸서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셨다.
그래서 복습은 안하도록 하겠다!
AWS 같은 유료성 서비스를 사용할 때는, (배우는 비용 + 사용될 비용) < (안 배우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하는 비용) 이 공식이 유지되도록 조심해야 하는 것 같다.
너무 많은 비용을 들여 기술을 배우고 (그것도 다른 회사가 만든! 언제 망할지 모르는! 언제 바꿔버릴지 모르는!) 너무 많은 비용을 들여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은(언제 비용이 폭등할지 모르는 !!!) 정말 위험한 것 같다. 특히 이번 유니티 사태를 보면, 한 서비스에 너무 많은 의존을 하면 안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기술을 사용하기보다는 그냥 스냅샷 뜨고 수기로 하면 간단하게 해결될 문제인 것 같다.
그래도 AWS 의 인증 절차를 한번 실습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IAM 이라는 인증 도구도 사용해 보고ㅎㅎ
실습 토큰은 주에 1회만 제공된다니, 다른 강의는 생략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래도 다음번에 AWS 강의를 하면 꼭 또 들을 것이다! (사실 16일 세션 예약해둠)
강의 주제
로컬 클라이언트에 있는 프로그램을 AWS 서버에 인스턴스를 만들어 클라우드 호스팅 실습

강의 내용


우와 이거 장난아니다 실습 너무 재밌다
aws 콘솔에서 키페어 만들고
sudo ssh-keygen -y -f testKeyPair.pem
이거로 키 만들어주고
인스턴스에 키 등록하고?
복제 템플릿 만듬
이건 서버를 어떻게 복사해올지를 규정하는 것임


시작 템플릿도 교체해 주었다.
여기서 서버가 시작되면 실행하는 작업을 설정한다.
동적으로 서버 크기를 변경하는 설정을 해제해 주었다.
이걸 켜면 과금이 되나보다
t3.small 타입을 사용하면 과금이 조금만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는다.


서버를 시작한 후에 실행할 액션에 대해 자동화하는 것

중간부터는 실습을 따라가기 급급해 기록을 남기지 못했다.
다시 복습하며 기록해 봐야겠다.
너무 복잡하고 어렵고
실습은 차근차근 천천히 해 주셨지만 따라해야 한다는 조급함에 완벽하게 이해는 하지 못했다.
천천히 다시 곱씹으며 작업 해봐야겠다.
'일지 > 일기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보기 개발 블로그 (0) | 2023.11.14 |
---|---|
웨비나 후기 : 유니티 - 앱에 게임 더하기! (1) | 2023.11.07 |
6개월차 개발자의 목표 세우기 (0) | 2023.11.02 |
3개월마다 다음 목표 세우기 (0) | 2023.10.26 |
중간점검 (0) | 2023.10.06 |
강의를 듣기 전,
유니티 웨비나가 실망스러워서 이번 웨비나도 걱정된다. (<- 우와 완전 좋았다! 이게 웨비나지 !!)
강의 후기,
강의는 정말 유익했다. AWS 에서 제공해 주는 토큰으로 유료 서비스를 실습해 볼 수 있었으며, 참여자 모두가 자신의 컴퓨터로 강의를 들음과 동시에 실습을 따라하는, 온라인 강의의 장점을 적극 활용한 세미나였던 것 같다.
사실 강의가 유익해서 회사 사수께 말씀드렸는데, AMS 는 비싸서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셨다.
그래서 복습은 안하도록 하겠다!
AWS 같은 유료성 서비스를 사용할 때는, (배우는 비용 + 사용될 비용) < (안 배우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하는 비용) 이 공식이 유지되도록 조심해야 하는 것 같다.
너무 많은 비용을 들여 기술을 배우고 (그것도 다른 회사가 만든! 언제 망할지 모르는! 언제 바꿔버릴지 모르는!) 너무 많은 비용을 들여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은(언제 비용이 폭등할지 모르는 !!!) 정말 위험한 것 같다. 특히 이번 유니티 사태를 보면, 한 서비스에 너무 많은 의존을 하면 안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기술을 사용하기보다는 그냥 스냅샷 뜨고 수기로 하면 간단하게 해결될 문제인 것 같다.
그래도 AWS 의 인증 절차를 한번 실습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IAM 이라는 인증 도구도 사용해 보고ㅎㅎ
실습 토큰은 주에 1회만 제공된다니, 다른 강의는 생략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래도 다음번에 AWS 강의를 하면 꼭 또 들을 것이다! (사실 16일 세션 예약해둠)
강의 주제
로컬 클라이언트에 있는 프로그램을 AWS 서버에 인스턴스를 만들어 클라우드 호스팅 실습

강의 내용


우와 이거 장난아니다 실습 너무 재밌다
aws 콘솔에서 키페어 만들고
sudo ssh-keygen -y -f testKeyPair.pem
이거로 키 만들어주고
인스턴스에 키 등록하고?
복제 템플릿 만듬
이건 서버를 어떻게 복사해올지를 규정하는 것임


시작 템플릿도 교체해 주었다.
여기서 서버가 시작되면 실행하는 작업을 설정한다.
동적으로 서버 크기를 변경하는 설정을 해제해 주었다.
이걸 켜면 과금이 되나보다
t3.small 타입을 사용하면 과금이 조금만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는다.


서버를 시작한 후에 실행할 액션에 대해 자동화하는 것

중간부터는 실습을 따라가기 급급해 기록을 남기지 못했다.
다시 복습하며 기록해 봐야겠다.
너무 복잡하고 어렵고
실습은 차근차근 천천히 해 주셨지만 따라해야 한다는 조급함에 완벽하게 이해는 하지 못했다.
천천히 다시 곱씹으며 작업 해봐야겠다.
'일지 > 일기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보기 개발 블로그 (0) | 2023.11.14 |
---|---|
웨비나 후기 : 유니티 - 앱에 게임 더하기! (1) | 2023.11.07 |
6개월차 개발자의 목표 세우기 (0) | 2023.11.02 |
3개월마다 다음 목표 세우기 (0) | 2023.10.26 |
중간점검 (0) | 2023.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