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듣기 전,
게임을 경량화하여 비게임 앱에 게임을 싣는 법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같다. (<- 아님)
강의 내용
국민의 소득과 상관 없이 앱 소비자 지출이 늘고 있다고 한다.
앱 소비자 지출이 뭐지? 배달의민족 주문이나 쿠팡 물건 구매도 앱 소비로 치나요? 아니면 앱을 구매하는것에 대한 지출만 의미하나요 ?
앱 시장이 게임 시장에 비해 성장세가 높다.
광고 또한 모바일 광고 시장의 규모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앱테크
=애플리케이션+재테크
앱테크란 앱 내에서 부가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잠금화면에 광고를 배치하고 포인트를 획득하는 등의 활동을 말한다.
이는 게임에서는 유저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회사의 이윤을 창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
프로그램에서 보상을 주면, 앱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진다.
보상이 주어지면 그 앱을 더 사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다시 돌아오고, 머무른다는 의미로 리텐션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셨다.
게이미피케이션
게임이 아닌 것을 게임인 것처럼 만드는 것이다.
게이미피케이션된 앱은 다른 경쟁사에 비해 '재미'라는 차별화를 가지게 된다.
게임화 방법
앱을 게임으로 만드는 게임화 방법에는 6가지가 있다.
1. 기억안남
2. 기억안남
3. 기억안남
4. 기억안남
5. 사회적 게임화 : 경쟁, 협력 등
6. 감정적 게임화 : 개인적 분석 지표(선호도 등)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
게임화 단계
1. 초급 : 스피너, 랜덤박스, 가챠
2. 중급 : 스트릭(연속 출석체크)
3. 고급 : 게임 자체를 앱 안에 넣어버림. 농장, 어항 등을 미니게임에 넣어버림
앱테크의 특징 : 명확한 금액의 현금성 정보를 줌. 다양한 행동을 통해 광고에 참여시킴
게이미피케이션 사례
빠른 구매 결정을 재촉하기 위해 스피너로 획득한 쿠폰에 제한 시간을 부여할 때, 이 제한시간 부여까지도 게이미피케이션이다.
보상형 광고
보상형 게임의 광고를 봐야지 리포트를 볼수 있다는 것 등의 사례가 있다.
+
앱의 입소문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앱의 '검색량'을 알면 된다.
광고가 아닌, 입소문을 통해 유입되는 사람들은 앱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검색해서 유입되기 때문이다!
웨비나 감상 후기
사실 기술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익한 강의를 기대했는데, 교양강의 류의 유니티 홍보 영상이었다 😢
내가 게이미피케이션이라는 단어를 몰랐기 때문에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
그래도 다양한 시각과 단어를 얻은 것 같다! 😄
토스로 자산 관리를 하면서, 은행 앱인데도 굉장히 재미있다고 생각이 들었는데, 그게 게이미피케이션 때문이었던 것 같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지 않은가! 강의를 듣고 보니 토스에서 초,중급의 게이미피케이션이 엄청나게 많아 보인다.
또 아쉬웠던 점으로는, 수많은 유튜브 강의에도 불구ㅏ고 라이브 강의를 들어간 이유에 '즉각적인 질문과 대답을 받고 싶어서' 도 있었는데, 전혀 대답해주지 않으셨다.
보여주시는 자료의 유효성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을 요청드리기도 했고, 말씀주신 것에 더 알고 싶은 부분을 요청드리기도 했는데, 전혀 답변을 주시지 않았다.
Q&A 로는 웨비나에서 사용된 자료에 대한 질문은 받아주지 않았고, 자신들의 상품의 단점과, 극복할 수 있는 부분만을 말씀해 주셨다😢
웨비나 감상의 장점이 다 사라져서, 유튜브 영상 시청이 더 편리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으로 들어본 웨비나였는데, 실망스러웠다.
앞으로는 웨비나를 보기 전, 웨비나의 주제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경영학과 출신이었으면 조금 더 유익하게 느껴졌었을 것 같다.
'일지 > 일기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보기 개발 블로그 (0) | 2023.11.14 |
---|---|
웨비나 후기 : AWS - 마이그레이션하고 현대화하기 (1) | 2023.11.08 |
6개월차 개발자의 목표 세우기 (0) | 2023.11.02 |
3개월마다 다음 목표 세우기 (0) | 2023.10.26 |
중간점검 (0) | 2023.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