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Server/Linux
문제) net 7.0 으로 구동되던 프로그램을 net8.0 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 dotnet Server.dll 로 실행하던 머신들의 dotnet 버전을 전부 업그레이드해 주어야 한다. 해결) 이렇게 매번 dotnet 버전을 업그레이드하는 불편함을 없애려면 dotnet 까지 함께 빌드해주면 된다. sudo dotnet publish ./TcpTestServer/TcpTestServer.csproj \ --configuration Release \ --self-contained \ --property:PublishSingleFile=true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어느 경로에 실행 파일이 생기는지 나온다. 찾아가서 실행해준다. // 찾아가서 cd /Users/jaeeun/free/AWS/..
· Server/Linux
프로젝트 sln 파일이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 빌드한다 dotnet build bin/Debug/net7.0 경로로 이동한다. net7.0
· Server/Linux
~/.ssh/config 파일에 아래와 같이 추가해준다. Host aws# 별명 HostName 35.91.120.94# public Ip Port 22# ssh port *고정* User ec2-user# username IdentityFile /*.pem# 키체인 파일 이러면 이제 ssh -i "키체인.pem" 유저네임@ip주소 이렇게 안하고 ssh aws 로 원격 접근이 가능하다.
· Server/AWS
아래처럼 키페어 / username / public ip 를 입력한다. ssh -i "***.pem" ec2-user@35.91.120.94 known hosts, finger print 를 추가할거냐 물어보면 yes 를 입력한다.
· Error Note
문제) ssh -i "***.pem" us-west-2a@35.91.120.94 이렇게 접속하려고 했는데 안됐다 해결) 가용 영역이 username 인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기본 username 인 ec2-user 로 접속했더니 잘 된다. ssh -i "***.pem" ec2-user@35.91.120.94
· Server/AWS
EC2 에서 인스턴스 시작으로 들어간다. 인스턴스 이름을 정한다. 키페어를 등록해 준다. 키페어는 나중에 원격 접속할 때 필요하므로 .pem 파일을 함께 준비하자. (잃어버렸으면 새 키페어를 발급받는다.) 네트워크 설정에 편집을 눌러서 필요한 네트워크 설정을 해 준다. ssh 를 이용한 원격 접속만 할거면 조종은 필요없다. 웹서버를 만들거면 이렇게 추가한다. 나같은 경우에는 Tcp 서버를 만들고 싶으니 이렇게 만들었다. 이번에는 51226번 포트를 사용할 예정이다.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르면 끝